본문 바로가기

천문학13

우리은하 태양계가 속해 있는 은하는 우리은하로 불린다. 은하수는 지구에서 보이는 우리은하의 일부분으로, 천구를 가로지르는 밝은색의 띠 형태로 보인다. 이 은하수는 많은 별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은하는 생성된 지 오래된 별들이 공의 형태로 밀집된 중심핵과 그 주위를 생성된 지 오래되지 않은 젊은 별들, 가스 그리고 먼지 등으로 이루어진 디스크 형태로 회전하고 있으며, 외곽 쪽에는 주로 먼지, 구상성단 등 일부별들과 암흑 물질로 구성된 헤일로가 타원형 형태로 은하의 주위를 둘러싸고 있다. 우리은하의 지름은 대략 10만 광년 정도 되며, 중심핵은 직경이 약 1만 광년이고, 두께는 15000광년이며, 나선 팔의 두께는 별들의 영역만을 생각하게 되면 대략 1000광년 정도이지만 최근의 연구를 통해서 가스 같은 것을 포함하.. 2022. 7. 29.
은하 은하란 천체들의 무리를 뜻하며, 항성과 밀집성, 성간물질과 암흑물질 등이 중력에 의해서 묶여 있다. 은하는 크기가 작은 것도 있고, 큰 것도 있는데 작은 은하는 1천만 개 이하의 항성으로 구성되어 있고, 큰 은하들은 100조 개의 항성들을 가지고 있다. 은하를 이루는 항성들은 질량 중심 주위를 공전하고 있으며, 태양 또한, 다른 항성들과 마찬가지로 지구를 포함하는 태양계의 행성들을 거느리고 은하의 주위를 공전한다. 은하 안에는 많은 성단, 성간운 그리고 항성계가 있으며, 그 사이의 공간들은 성간 물질, 즉 가스, 먼지, 우주선들로 채워져 있다. 다만, 현재 우리가 완벽하게 그 본질을 밝혀내지 못하고 있는 암흑물질이라고 불리는 것이 일반적으로 은하의 질량의 약 90%를 차지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그리고 .. 2022. 7. 28.
토성 토성은 태양계에서 여섯 번째에 있는 행성이다. 목성 다음가는 크기로 지름이 지구의 9.1배에 달하며, 부피 또한 약 760배에 달한다. 표면 중력 또한 지구와 유사하며, 목성과 천왕성, 그리고 해왕성과 함께 목성형 행성으로 분류가 된다. 토성의 밀도는 태양계에 있는 행성 중에 가장 낮으며, 자전 속도는 빠른 편에 속하고, 표면은 단단한 고체로 이루어져 있지 않다. 이런 복합적인 요소들이 결합하여 토성의 외관은 맨눈으로도 보일 정도로 회전 타원체 형태를 보인다. 가스로 구성된 다른 행성들도 찌그러진 구모 양을 가지고 있는 것은 마찬가지이지만, 토성처럼 심한 경우는 없는 것으로 현재까지는 알려졌다. 토성의 중심의 핵 부분의 밀도는 높을 것으로 과학자들은 예상하나, 전체적인 토성의 밀도는 높지 않다. 토성의 .. 2022. 7. 27.
화성 화성은 태양계의 행성 중 네 번째이며, 지구형 행성에 속한다. 화성 표면은 철의 산화로 인해 붉은색을 띠기 때문에 동양에서는 불을 뜻하는 한자를 사용하여 화성 혹은 형 혹성이라 칭하고, 서양에서는 로마 신화의 신의 이름을 따서 마시어라 부른다. 지구와 화성과의 평균 거리는 7800만 킬로미터이며, 화성의 지름은 약 지구의 절반 수준이고, 자전 주기는 지구와 비교했을 때, 24시간 37분 22초로 더 길다. 1965년 화성에 처음으로 근접 비행을 하기 전까지, 과학자들 혹은 비과학자들 대부분이 화성에 물이 존재할 것으로 생각하였다. 그 이유는 화성의 극지방에서 밝고 어두는 색의 무늬가 주기적으로 변화한다는 것이 관측되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1960년대 중반 이전까지 사람들은 농업을 가능하게 하는 일종의 관.. 2022. 7. 22.